•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인사말
      • 중앙연합회 소개
      • 주요연혁
      • 조직소개
      • 사업현황
      • 오시는 길
      • 중앙회 주요활동
      • 성명 및 논평
      • 지방연합회 주요활동
      • 학생미술대전
      • 농업기술길잡이 소개
      • 농업농촌정책자료
      • 과학영농기술정보지
      • 공지사항
      • 일정표
      • 업무자료실
      • 자유게시판
    과학영농 기술정보지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귀농인 40% 준비교육 없이 농촌으로”

    귀농·귀촌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귀농가구의 40%는 관련 교육을 받지 않고 농촌으로 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 사이 4천167개 귀농·귀촌 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 준비에는 평균 25.1개월이 소요됐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준비 기간이 짧았다.

    귀농·귀촌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은 귀농가구의 경우 59.9%였고, 귀촌가구는 21.1%에 그쳤다.


    귀농·귀촌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귀농가구의 27.3%, 귀촌가구의 41.7%가 ‘정보 획득의 어려움’을 꼽았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농촌생활 경험이 있는 경우라고 설명했다. 반면 귀촌가구의 31.9%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2천828만원 이었으며, 귀농 후 5년 차에는 3천895만원으로 증가해 귀농 전 소득인 4천400만원의 88.5% 수준까지 회복했다.


    이에 비해 귀촌 1년 차 가구소득은 평균 3천279만원이었으며, 귀촌 후 4년 차에는 4천58만원으로 증가해 귀촌 전 소득인 4천38만원을 넘어섰다.
    지역 융화에 대한 질문에는 귀농가구의 74.7%, 귀촌가구의 56.1%가 “좋다”고 응답했다. 지역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는 비율은 귀농가구 1.4%, 귀촌가구 1.5%로,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의 충돌’ ‘마을 공동시설 이용 문제’ 등을 불화의 이유로 꼽았다.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로는 문화·체육 서비스라는 답이 가장 많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 서비스, 교통 서비스 등이 뒤를 이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귀농·귀촌 맞춤형 정책지원에 나설 계획으로, 우선 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지역의 귀농귀촌 교육을 중점 개선하겠다고 밝혔다.